신용회복경험담

2025.03.14 15:07

다시 찾은 희망

  • 최고관리자 오래 전 2025.03.14 15:07
  • 63
    0

채무 발생 전의 삶

저는 올해 41세, 이혼 후 고등학생 자녀를 홀로 키우는 엄마입니다. 한때는 안정적인 직장에 다녔지만, 출산과 육아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었고, 다시 사회로 나오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. 생활비와 교육비 부담이 커지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임대사업을 시작했습니다. 작은 아파트 두 채를 구매해 월세를 받으며 생활했는데, 당시에는 나름대로 성공한 선택이라 생각했습니다.


 

채무 발생과 악화 과정

하지만 몇 년 전부터 부동산 경기가 하락하면서 공실이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. 처음에는 금방 해결될 거라 믿었지만, 예상보다 장기화되면서 수익이 줄어들었습니다. 매달 대출이자를 감당하기 어려워졌고, 생활비를 신용대출과 카드대금으로 충당하기 시작했습니다.

총 채무액은 어느새 2억 2천만 원에 달했습니다. 은행 두 곳에서 받은 부동산 담보대출 1억 8천만 원, 신용대출 3천만 원, 카드대금 1천만 원이 쌓여갔습니다. 임대료로 이자를 낼 수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, 공실이 지속되면서 원리금을 갚기는커녕 추가 대출을 받는 악순환이 반복되었습니다.


 


개인회생 결심까지의 과정

더 이상 버틸 수 없다는 걸 깨달은 건, 카드 연체가 시작되면서였습니다. 하루에도 여러 번 걸려오는 독촉 전화와 우편물에 시달리면서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가 극심해졌습니다. 아이에게 티 내지 않으려 했지만, 어느 순간 아이도 저의 변화를 눈치채고 있었습니다.

친한 친구에게 조언을 구했더니 개인회생이라는 방법이 있다고 알려주었습니다. 처음에는 망설였습니다. ‘정말 이게 나에게 가능한 일일까?’ ‘사회적으로 불이익이 있는 건 아닐까?’ 고민을 거듭했습니다. 하지만 계속 이렇게 살 수는 없다는 생각에 법률 상담을 받아보기로 했습니다.

상담을 받으러 가던 날, 긴장과 불안감이 컸습니다. 하지만 상담사는 친절하게 절차를 설명해주었고, 저 같은 상황에서 개인회생을 신청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말에 조금은 안도할 수 있었습니다.


 

개인회생 진행 과정

상담 후 바로 서류를 준비해 접수를 했습니다. 법원에서 인가가 나기까지 약 6개월이 걸렸습니다.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았습니다. 서류 준비부터 법원 출석까지 정신적으로도 힘들었고, 경제적으로도 변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.

결국 법원에서는 월 60만 원씩 5년간 변제하는 계획을 승인해 주었습니다. 처음에는 이 금액도 감당하기 어려울 거라 생각했지만,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생활을 최대한 단순화하면서 점차 적응해 갔습니다. 법원에 출석했을 때도 두려움이 컸지만, 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보면서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걸 깨닫고 용기를 얻었습니다.


 

현재의 변화와 희망

개인회생 인가를 받은 후 가장 큰 변화는 마음의 안정을 찾았다는 것입니다. 독촉 전화가 사라졌고, 매달 정해진 금액만 성실히 변제하면 된다는 것이 심리적으로도 큰 위안이 되었습니다.

현재 저는 파트타임 사무직으로 일하며 안정적으로 변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물론 여전히 경제적으로 넉넉하진 않지만, 최소한 빚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큰 안도감을 줍니다.

앞으로는 재정 관리에 더욱 신중해질 계획입니다. 작은 금액이라도 저축을 시작하고, 추가적인 수입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 개인적으로는 아이와 함께 좀 더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것이 가장 큰 목표입니다.


 

같은 처지의 분들에게 드리는 말씀

개인회생을 결심하기까지 많은 고민을 했지만, 지금 돌이켜보면 더 빨리 결단을 내렸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. 빚을 혼자 짊어지고 괴로워하기보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저와 같은 상황에 있는 분들이 있다면,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꼭 상담을 받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. 개인회생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위한 과정입니다. 포기하지 말고 다시 일어설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시길 바랍니다.


  • 공유링크 복사

41e9968b1b43406151a55dcfede1b1ab_1744601635_3579.png